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복지용 ‘정부쌀’ 기준가격 8~40%에 공급…올 12만t 넘어설 듯

Author
익명
Date
2021-02-24
Views
127

쌀값이 지난해 작황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연일 고공행진 중이다. 농업계에선 크게 떨어졌던 쌀값이 회복하는 과정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취약계층에겐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없지 않다. ‘나라미’라고 부르는 복지용 정부쌀의 공급 현황을 알아본다.




◆‘2004년 정부양곡 반값 지원’이 모태=복지용 정부쌀 제도 도입은 2004년 7월 총리 주재 ‘국정현안정책 조정회의’와 8월 ‘경제민생 점검회의’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는 사회복지 확충 요구가 커지는 동시에 만성화한 쌀 공급과잉 구조가 맞물린 때였다. 정부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2004년 12월∼2005년 2월 석달간 생계곤란가구에 처음으로 정부쌀을 반값에 지원했다. 겨울철 3개월 지원은 2007년까지 계속되다가 2008년부턴 지원기간이 5개월로 늘어났고 2009년 연중으로 확대됐다.


 


올해 복지용 정부쌀을 공급받은 가구는 한달 평균 80만가구에 육박하고 연간 공급물량도 12만t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복지당국이 수급자 대상을 계속해서 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쌀값이 높아지면 공급 신청이 덩달아 늘어나는 경향도 이같은 전망에 한몫한다. 복지용 쌀 공급 가구는 2017년 한달 평균 54만6000가구에서 2020년 77만6000가구로 42%, 공급물량은 7만2894t에서 11만1143t으로 52% 증가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취약계층 생계안정에 큰 보탬이 되는 복지용 쌀을 올해에도 안정적으로 공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