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농협형 스마트팜’ 보급, 자재·데이터·네트워크 삼박자 갖춰야”

Author
엄상혁
Date
2021-01-14
Views
204

‘농협형 스마트팜’을 개발·확산하려면 농협 주도의 ‘자재 계통 공급’ ‘데이터 수집’ ‘농민 네트워크 육성’ 등의 조건이 맞물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기포 농협대학교 교수는 최근 ‘스마트 농업의 현황과 농협의 역할’ 보고서를 통해 일본 전국농업협동조합연합회(JA전농)의 사례를 들며 이같이 주장했다. 농협형 스마트팜은 초기 투자비 및 운영비를 최소화해 중소농·청년농·귀농인 등도 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모델을 말한다.



보고서는 ‘농협형 스마트팜’ 보급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농협의 자체 스마트 자재 공급체계 구축을 꼽았다. 현재 스마트팜 농가는 운영에 필요한 배지·양액비료·유인줄 등의 자재를 개별 구입하고 있어 업체와의 가격 협상에 불리하다. 남 교수가 농민 20여명을 자체 조사한 결과 국산 스마트 농자재는 ‘견고성’과 작동의 ‘정확성’이 낮고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보고서는 “정부의 스마트 농자재 표준화 규격이 마련돼 있지만, 너무 많은 표준으로 실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며 “농협 자체적으로 농자재 효과성·내구성·편의성 등을 검증하는 기구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농협이 참여하는 영농 데이터 수집·관리도 스마트팜 보급의 조건으로 꼽혔다. 현재 시설원예·축산 부문에서 농촌진흥청 등 정부 농업기관과 개별 기업이 각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만, 영농정보간 표준화·호환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협 자체의 스마트팜 농가 정보 수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게 보고서에 담긴 주장이다.


 


이밖에 스마트농업 참여 주체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도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농민과 전문가(지도기관·설비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현장 문제 해결형 연구 프로젝트가 활발히 조직돼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JA전농은 TAC(티에이시·Team for Agricultural Coordination)라는 조직에 농민·전문가 1800명이 참여하고 있다”며 “전문가가 농가 방문을 통해 농자재·기술을 제안하고, JA전농과 연계해 농산물 판매까지 연계하는 방식을 참고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