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소식을 수집,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생산 안정돼야 식탁물가 안정” 농업예산 증액 촉구
Author
admicals
Date
2025-11-05
Views
20
“식탁 물가 안정화의 전제조건은 국산 농축산물의 안정적 생산이다. 농업 예산 증액인 농업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2026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 증액 7대 요구사항’을 발표<본보 11월 4일자 3면 참조>한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3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인 임미애 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과 함께 ‘2026년도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 증액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한농연과 임 의원은 농식품 정책사업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알렸다.
한농연의 예산 증액 7대 요구사항은 △농촌 고용인력 지원 △예비 청년농업인 지원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농기계 임대 △무기질비료 가격 보조 및 수급 안정 △농가사료 직거래 활성화 지원 △가축방역 대응 지원 등이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2026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 증액 7대 요구사항’을 발표<본보 11월 4일자 3면 참조>한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3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인 임미애 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과 함께 ‘2026년도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 증액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한농연과 임 의원은 농식품 정책사업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알렸다.
한농연의 예산 증액 7대 요구사항은 △농촌 고용인력 지원 △예비 청년농업인 지원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농기계 임대 △무기질비료 가격 보조 및 수급 안정 △농가사료 직거래 활성화 지원 △가축방역 대응 지원 등이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 Next 수입 콩 가공업체, 제 잇속만 챙기나
- Prev “대형 산불, 국정조사 실시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