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소식을 수집,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쌀 생산기반 유지, 가공산업서 해법 찾자”

Author
admicals
Date
2025-08-25
Views
38
쌀의 안정적 생산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밥쌀용과 달리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쌀가공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쌀가공업계가 올해 원료 확보난에 직면해 있는 만큼 정부양곡 부족 물량을 추가 공급해 단기 위기를 해소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계약재배 확대와 가공용 전문쌀 단지 구축, 식량안보법 제정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이는 22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쌀가공산업 발전과 식량안보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토론회는 고려대 한국식량안보연구소와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한국쌀가공식품협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10명이 공동 주최했다. 

조상현 한국쌀가공식품협회 본부장은 ‘쌀가공식품산업의 지속 가능한 민관 협력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며 쌀가공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제시했다. 그는 “1980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32.4kg이었으나 2024년에는 55.8kg까지 줄었고, 2033년에는 44.9kg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반면 가공용 쌀 소비는 2024년 65만톤에서 2033년 97만톤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쌀가공산업은 과잉 물량을 흡수하고 산업 기반 보호와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식량안보와 농가 소득 안정에 직결되는 산업”이라며 체계적 육성을 촉구했다.

조 본부장은 우선 단기 대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 민간 신곡 물량이 크게 부족해 가격이 급등했고 이마저도 구하기 어렵다”며 “10월이면 원료가 끊겨 납품 계약을 지키지 못하는 업체들이 80~90%에 달하는데, 대부분이 중소기업이라 한번 무너지면 회복이 쉽지 않다”며 “정부가 5만톤가량의 정부양곡을 추가 공급해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정부양곡의 역할에 대해서도 “산지 쌀값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아니라 산업 안정성과 민간 신곡 구매를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민관 협력 필요성도 제기됐다. 정부양곡 공급과 함께 계약재배 확대, 가공용 쌀 전용단지 구축 등을 통해 국내산 쌀 재배 농가와 가공업계가 상생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조 본부장은 “정부양곡은 40만톤까지 공급하고, 나머지 성장 수요는 계약재배와 민간 신곡으로 충당해야 한다”며 “정부는 격리 예산 일부를 계약재배 지원으로 전환하고, 가공용 쌀 전용 단지를 구축해 안정적인 원료 공급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그는 “장기적으로는 국산쌀은 가공·내수용으로, 의무수입쌀(TRQ)은 수출·원조용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전략적 분리 활용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