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소식을 수집,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산지~도·소매 아우르는 유통 개선대책 필요”
Author
admicals
Date
2025-07-17
Views
20
농산물 유통 개선대책 수립 시 산지부터 도매·소매 전 단계를 아우르는 정책을 추진해야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농산물 온라인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온라인 직거래를 지원하는 형태로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국식품유통학회는 지난 10~11일 부산광역시 소재 부산대학교에서 농림축산식품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학계, 유통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새 정부에 바라는 농식품 유통의 나아갈 길’을 주제로 ‘2025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소매까지 포함한 농산물 유통 개선 필요=이번 학술대회 첫째 날 진행한 공동심포지엄에서 ‘농산물유통 현실과 온·오프라인 도매시장 유통 개선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은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유통 문제를 산지유통, 도매유통 등에 대한 족집게식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라며 “산지부터 도매·소매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농산물 유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률 연구위원에 따르면 농산물 유통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 제도 개선은 산지와 도매·소매 단계적 연계성,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균형적 연계와 발전, 상류와 물류의 연계 발전 차원의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다.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모두 연계한 정책을 추진해야 유통 정책도 효과를 발휘하고, 수급과 가격 안정 정책도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매단계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으로, 농식품부가 산지와 도매에 국한된 유통정책을 수립·추진하다 보니 주로 도매단계, 그중에서도 정책 대상이 도매시장법인에 집중되는 정책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김병률 연구위원은 “농식품에 한해 소매단계 유통을 농식품부 관할로 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지와 도매, 소매를 연계해 농산물 유통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병률 연구위원은 이밖에도 △유통경로 간 경쟁 환경 조성과 유통효율화 유도 △농업인·소비자에 다가가는 도매시장 정책 공공성·경쟁효율 증진 △온·오프라인 도매시장 균형 발전과 상물분리 유통질서 구축 등을 농산물 유통 개선 방향으로 제시했다.
종합토론에선 현 도매시장 및 농산물 거래 제도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농산물 유통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됐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한국식품유통학회는 지난 10~11일 부산광역시 소재 부산대학교에서 농림축산식품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학계, 유통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새 정부에 바라는 농식품 유통의 나아갈 길’을 주제로 ‘2025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소매까지 포함한 농산물 유통 개선 필요=이번 학술대회 첫째 날 진행한 공동심포지엄에서 ‘농산물유통 현실과 온·오프라인 도매시장 유통 개선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은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유통 문제를 산지유통, 도매유통 등에 대한 족집게식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라며 “산지부터 도매·소매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농산물 유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률 연구위원에 따르면 농산물 유통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 제도 개선은 산지와 도매·소매 단계적 연계성,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균형적 연계와 발전, 상류와 물류의 연계 발전 차원의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다.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모두 연계한 정책을 추진해야 유통 정책도 효과를 발휘하고, 수급과 가격 안정 정책도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매단계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으로, 농식품부가 산지와 도매에 국한된 유통정책을 수립·추진하다 보니 주로 도매단계, 그중에서도 정책 대상이 도매시장법인에 집중되는 정책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김병률 연구위원은 “농식품에 한해 소매단계 유통을 농식품부 관할로 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지와 도매, 소매를 연계해 농산물 유통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병률 연구위원은 이밖에도 △유통경로 간 경쟁 환경 조성과 유통효율화 유도 △농업인·소비자에 다가가는 도매시장 정책 공공성·경쟁효율 증진 △온·오프라인 도매시장 균형 발전과 상물분리 유통질서 구축 등을 농산물 유통 개선 방향으로 제시했다.
종합토론에선 현 도매시장 및 농산물 거래 제도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농산물 유통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됐다.
(관련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