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미생물농약 대량생산 때 생물학적 변이로 병원균 활성 저하"
Author
익명
Date
2020-10-14
Views
129
전용호 안동대 식물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농약을 만드는 공정에서 미생물 변이로 생물학적 활성이 저하하는 원인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
12일 안동대에 따르면 국내외에 친환경 생물농약 시장이 증가하는 상황이나 유용 미생물을 대량 생산하는 과정에 병원균 활성이 저하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전 교수팀은 대량 배양 과정에서 유용 미생물 변이를 상용화 실패 원인으로 주목하고 첨단 연구기법으로 항균 활성이 저하하는 기작(機作·메커니즘)을 밝혀냈다.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yxa)균은 병원균에 항균 활성뿐 아니라 식물 생장 촉진을 유도하고 병 저항성을 증진하는 유용한 미생물임에도 생물농약 개발에 어려움이 따랐다.
그런데 대량 배양 때 세균 대부분이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형태로 변이가 발생했고 연구팀은 내생포자 형성 초기 단계에서 발현하는 유전자(spo0A)가 관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수한 활성이 있는 균주임에도 배양하기 어려운 유용 미생물을 친환경 생물농약으로 개발하는 데 중요한 바탕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를 받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