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코로나 재확산…계절근로자 입국 ‘빨간불’
계절근로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2019년 12월 이후 발길이 끊겼다가, 올 5월 약 1년 반 만에 입국이 재개됐다. 정부 차원에서 자국민 송출에 적극적인 우즈베키스탄 계절근로자들이 강원 양구·홍천 등에 배치됐다. 하지만 최근 우즈베키스탄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고, 특히 국내로 들어온 계절근로자들 사이에서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다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정부는 우선 9일자로 우즈베키스탄을 방역강화대상국가에 포함했다. 이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 계절근로자 신규 도입이 전면 중단됐다.
향후 입국 재개 때도 방역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방식을 적용하는 해외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경우에 한해 사증(비자)을 발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아울러 계절근로자가 국내 입국 후 방역수칙을 위반해 확진되면 해당 농가나 지방자치단체에는 다음해 배정 때 불이익을 준다.
이번 조치로 계절근로자 추가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수확기를 앞둔 농촌 현장에는 비상이 걸렸다. 충북 괴산군은 이달 우즈베키스탄 계절근로자 75명을 농가에 배정한다는 계획이 무산됐다. 괴산군 관계자는 “7월부터 연말까지 고추·절임배추 농가 등에 인력이 매번 모자라는데, 계절근로자를 들여올 방법이 사실상 없어서 내국인 활용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으로부터 계절근로자 도입을 추진 중인 강원의 한 지자체도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항공권 발급까지 다 마쳤지만 공항에 도착해 우리 지역으로 오는 버스를 타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확답할 수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