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조생종 7000t 출하 연기…양파값 미리 손쓴다

Author
익명
Date
2021-05-03
Views
156

재배 는데다 홍수출하 양상속 자조금 통한 수급조절 시험대


농협 50~60일 보관 후 출하 고비 넘기면 하반기 안정 전망


 


5월 수확되는 조생종 양파 7000t의 시장 출하가 50일 이상 늦춰진다. 재배면적 증가와 수확시기 중첩으로 값 급락 양상을 띠는 양파 수급을 조기에 안정화하기 위한 조치다.


양파의무자조금단체인 한국양파연합회는 민관이 합심해 조생양파 출하를 연기한다고 최근 밝혔다. 농민이 수확한 양파를 주산지농협이 5월6∼25일 사들여 50∼60일 보관한 후 가격 추이와 수급 상황을 보며 6월26일∼7월20일 중 출하하는 방식이다.


 


김영진 한국양파연합회 의무자조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은 “향후 양파값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농민들은 막연한 불안감에 조기·홍수 출하하지 말고 가격 상황을 보면서 수확시기를 조절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출범한 양파의무자조금의 수급 조절 첫 시험대라는 의미도 있다. 의무자조금단체는 거출금을 납부한 농민에 대해서만 수매에 참여할 수 있게 해 경작신고율 제고 등 관심을 환기하겠다는 복안이다. 거출금을 아직 납부하지 않은 농민도 수매 직전에 내면 참여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본격 출하기 양파값 안정을 위해 최대한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이다.



김형식 농식품부 원예산업과장은 “전체 생산량의 85%가량에 달하는 중만생종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실측 결과 평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본격 출하철 양파값 안정을 위해 비축 등 다양한 수급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