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돼지고기 등급기준 개선” 한목소리

Author
익명
Date
2021-04-16
Views
180

한돈산업 발전 토론회서 주장


소비자 선호도 조사해 반영 가격차 작은 1+·1등급 통합


정부, 육질예측 연구용역 진행


 


돼지 도체 등급판정제도(돼지고기 등급제)를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은 13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센터에서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주관으로 열린 ‘한돈산업 발전 토론회’에서 나왔다. 돼지고기 등급제는 축산물 품질향상·유통원활·가축개량 촉진 등을 목적으로 1993년 도입된 제도로,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 따라 1+등급·1등급·2등급·등외로 등급이 나뉜다. 지난해 등급 판정을 받은 돼지는 1816만마리며, 전체 등급 판정 수수료는 72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전국 127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벌인 인식조사 결과, 등급제를 알지 못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4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구매 때 무엇을 기준으로 두느냐는 질문에는 가격(41%)과 브랜드(29%)가 1·2 순위를 차지했다. 등급 판정기준인 ‘지방두께’를 선택한 비율은 17%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은 “1+등급 돼지라도 시장에서 등급 표기 없이 판매되거나 다른 등급과 혼합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흑돼지는 2등급인데도 1+등급의 돼지와 비슷한 가격에 팔리는 등 등급 판정 결과가 소비시장에 연계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진구복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교수는 “획일적인 등급제에서 벗어나 신선육 판매 도체와 가공육 판매 도체를 구분하는 방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가격차가 별로 나지 않는 기존 1+등급과 1등급을 통합하고, 삼겹살이나 목심 부위의 등급을 세분화하는 방식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광욱 도드람양돈농협 조합장도 “소비자들의 돼지고기 부위별 선호도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는 방향으로 등급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해 소매점, 식당 등 소비시장별로 요구하는 돼지고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