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바뀐 민심…농업계 “농정개혁 성과를”
4·7 재보선 결과 둘러싼 여론
농산물 최대 수요처…관심 커 한농연, 새 판로 개발 등 건의
“농민 체감 농정을” 대정부 경고
4·7 재보궐 선거에 비친 민심은 매서웠다. 지난해 총선에서 여권에 180석이란 ‘꿈의 숫자’를 선사했던 유권자들은 1년 만에 냉정한 심판자로 돌아섰다.
서울·부산 시장을 모두 국민의힘에 내준 더불어민주당은 완패를 인정하고 8일 지도부 총사퇴 등 쇄신 절차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이날 “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수용한다. 철저하게 성찰하고 혁신하겠다”고 대국민 성명을 냈다. 하지만 여론은 여전히 싸늘하다. 과감한 국정 전환이나 인적 쇄신 움직임이 보이지 않아서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3월31일 서울시장 후보 신분이었던 오 시장을 만나 ▲서울 가락시장 다른 지역 이전 ▲취약계층 국산 먹거리 제공 확대 ▲국산 농산물 신규 판로 개발 등을 요구하는 정책건의서를 전달했다. 당시 오 시장은 “당선 뒤 다시 한번 만나 건의서에 담긴 내용을 논의하고 시정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농연 관계자는 “대한민국 대표 도시인 서울과 농업·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계속 얘기하겠다”며 “농업계 안에서만 안고 있던 농정 현안을 이젠 도시민과 함께 풀어가야 한다”고 했다.
농업계는 문재인정부의 농정개혁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내년 대선에선 농심의 엄중한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사람 중심의 농업’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내세웠지만, 농민들은 4년 동안 농업예산·농가소득·후계인력 확보 등에 대한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은 농민이 든 촛불로 시작한 문재인정부의 농정이 ‘현장과 소통하지 않은 죽은 농정’이었다고 진단하고 11월 10만 농민 총궐기를 선포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