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뉴스
iCALS
Information Center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농업생명과학정보원은 광범위한 농업생명과학분야의 국내외 전문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있고,
대량 생산되는 연구실적들을 정보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킴으로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련 정보를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APC, 외국인 근로자 고용문 ‘활짝’
특례고용허가제에 포함
근로자 농촌 찾게 하려면 고용안정화 방안 등 필요
올 상반기 안에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도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농협·농업법인이 운영하는 APC도 방문취업(H-2비자)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언한 지 1년여 만이다. 만시지탄이란 반응과 함께 실효성을 높일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부는 최근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출입국관리법에 따르면 현재 방문취업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은 300명 미만의 제조업 등 시행령에 적시된 39개 업종에만 취업할 수 있다. 이른바 ‘특례고용허가제’다.
당초 정부는 2019년 12월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제27차 외국인력정책위원회’를 열어 ‘2020년도 외국인력·도입 운용계획’을 의결하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APC가 외국인 근로자를 당장이라도 고용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퍼진 배경이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법무부 내부 사정으로 시행령 개정은 차일피일 미뤄졌고, 그사이 APC는 주 52시간 근무제 확산 등 계속되는 근로환경 개선 요구 속에 심화한 인력난을 고스란히 겪어야 했다.
문호는 개방됐지만 H-2비자 소지자들이 APC에 많이 들어올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H-2비자 소지자 상당수는 연간 수요가 꾸준하고 편의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은 도시지역 일자리를 선호하는 게 현실”이라면서 “이번 시행령 개정이 산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실효성을 높여야 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 Next [단독] 농기계 제조연도 차대 각인 의무화
- Prev "인공지능으로 딸기 농사 척척"